본문 바로가기
일상 정보/외국에서 한국 제품 구매하는 방법 & 한국 직구 가이드

국가별 한국 직구 관세 & 면세 한도 총정리

by 채채해피 2025. 4. 3.
반응형
SMALL

국가별 한국 직구 관세 & 면세 한도 총정리

해외에서 한국 제품을 직구할 때, 국가별로 면세 한도와 관세율이 다릅니다.
면세 한도를 초과하면 관세와 부가가치세(VAT)가 추가로 부과될 수 있으므로,
구매 전에 각 국가의 직구 세금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국가별 한국 직구 관세 및 면세 한도를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.


[1] 미국 (USA) - 면세 한도 $800

면세 한도: 미화 $800 이하
$800 초과 시 관세 + 부가세 부과 (품목별 세율 다름)
의류, 신발, 전자제품 등 대부분 무관세
식품, 건강기능식품 일부 품목 제한 있음

💡 미국은 면세 한도가 높아 한국 직구에 유리한 국가입니다!


[2] 캐나다 - 면세 한도 CA$20

면세 한도: CAD 20 (약 15 USD)
CA$20 초과 시 관세 + 부가세(GST) 부과
GST(부가세): 기본 5%, 주마다 상이
의류, 전자제품, 화장품 등 관세율 품목별 차이 있음

💡 캐나다는 면세 한도가 낮아 추가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.


[3] 유럽연합 (EU) - 면세 한도 €150

면세 한도: €150 이하 (약 160 USD)
€150 초과 시 관세 부과, €22 초과 시 부가세(VAT) 부과
VAT: 국가별로 17~27% 차이 있음
의류(12%), 가방(9%), 화장품(6.5%) 등 품목별 관세율 존재

💡 유럽 직구 시 VAT까지 고려해야 추가 비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
[4] 영국 (UK) - 면세 한도 £135

면세 한도: £135 이하 (약 170 USD)
£135 초과 시 관세 부과, £15 초과 시 VAT 부과 (20%)
의류, 가방, 전자제품 등 품목별 관세율 다름

💡 영국은 VAT 부과 기준이 낮아 주의해야 합니다.


[5] 호주 (Australia) - 면세 한도 AU$1,000

면세 한도: AU$1,000 이하 (약 670 USD)
면세 한도 초과 시 10% GST + 관세 부과
의류(10%), 신발(5%), 화장품(5%) 등 관세율 존재

💡 호주는 면세 한도가 높아 한국 직구에 유리한 국가입니다.


[6] 일본 (Japan) - 면세 한도 ¥16,666

면세 한도: ¥16,666 (약 110 USD) 이하
¥16,666 초과 시 10% 부가세(VAT) 부과
품목에 따라 추가 관세 적용 가능

💡 일본은 비교적 면세 한도가 낮아 주의해야 합니다.


[7] 중국 (China) - 면세 한도 CNY 500

면세 한도: ¥500 (약 70 USD) 이하
면세 한도 초과 시 관세 + 부가세 부과
화장품, 식품, 전자제품 등 품목별 세율 존재

💡 중국 직구 시 세금 부과 기준이 엄격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.


[8] 홍콩 (Hong Kong) - 면세 한도 무제한

면세 한도: 없음 (모든 개인 사용 물품 무관세)
부가세 없음
담배, 주류 등 일부 품목 과세 대상

💡 홍콩은 면세 한도가 없고 무관세라 한국 직구에 가장 유리합니다.


[9] 싱가포르 - 면세 한도 S$400

면세 한도: SGD 400 (약 300 USD)
초과 시 7% GST 부과 (2024년부터 9%)
의류, 전자제품, 화장품 등 대부분 무관세

💡 싱가포르는 면세 한도가 넉넉하고 세금이 낮아 직구에 적합합니다.


[10] 대만 (Taiwan) - 면세 한도 TWD 2,000

면세 한도: TWD 2,000 (약 65 USD)
TWD 2,000 초과 시 5% 부가세 + 관세 부과
일부 품목 제한 있음

💡 대만은 면세 한도가 낮아 소액 직구 위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
[11] 태국 (Thailand) - 면세 한도 THB 1,500

면세 한도: THB 1,500 (약 40 USD)
초과 시 7% VAT + 관세 부과
의류, 화장품, 전자제품 등 품목별 관세율 존재

💡 태국은 면세 한도가 낮아 세금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.


[12] 베트남 (Vietnam) - 면세 한도 VND 1,000,000

면세 한도: VND 1,000,000 (약 40 USD)
초과 시 관세 + 10% VAT 부과
품목별 추가 세율 적용 가능

💡 베트남은 면세 한도가 낮아 추가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.


[13] 말레이시아 (Malaysia) - 면세 한도 MYR 500

면세 한도: MYR 500 (약 110 USD)
초과 시 10% GST 부과
전자제품, 의류 등 일부 품목 관세 부과 가능

💡 말레이시아는 면세 한도가 적당하여 한국 직구에 적합한 편입니다.


[14] 인도네시아 (Indonesia) - 면세 한도 $75

면세 한도: $75 이하
초과 시 관세 + 10% VAT 부과
의류, 전자제품 등 품목별 추가 세율 존재

💡 인도네시아는 면세 한도가 낮아 소액 직구에 적합합니다.


[15] 필리핀 (Philippines) - 면세 한도 PHP 10,000

면세 한도: PHP 10,000 (약 180 USD)
초과 시 관세 + 12% VAT 부과
일부 품목 제한 있음

💡 필리핀은 면세 한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유리한 편입니다.


결론: 국가별 면세 한도를 꼭 확인하세요!

미국(AU$800), 호주(AU$1,000), 홍콩(무제한)은 직구하기 유리한 국가
캐나다(CA$20), 태국(THB 1,500), 베트남(VND 1,000,000)은 면세 한도가 낮아 추가 비용 발생 가능
유럽, 영국, 일본은 VAT까지 고려해야 함

💡 해외 직구 시 국가별 면세 한도를 미리 확인하면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!

반응형
LIST